망막혈관폐쇄는 눈에 생기는 중풍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망막동맥 폐쇄, 망막정맥 폐쇄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망막 혈관 질환으로 안허혈증후군, 고혈압망막병증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게 됩니다. 망막혈관폐쇄증은 혈액순환 문제로 인해 망막 혈관이 막히고 산소공급이 저하됨에 따라 발생한 망막 손상으로 인해 혈관에 출혈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망막혈관폐쇄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나타나며, 고령의 나이, 고혈압 등에서 발생합니다.
혈관이 폐쇄된 위치에 따라 망막중심동맥 폐쇄, 망막분지 동맥폐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발생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으나 색전이나 혈전 등의 요인이 유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중심 동맥 폐쇄의 경우, 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며 전신질환으로 확산될 위험이 있습니다.
망막중심동맥폐쇄가 발생하여 망막동맥이
매우 가늘어지고 후극부 망막이 혼탁해진 모습
망막중심동맥폐쇄가 발생하여 형광이 충만되지 않은
폐쇄동맥이 흑선으로 보이는 모습
혈관이 폐쇄된 위치에 따라 망막중심정맥 폐쇄, 망막분지 정맥폐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정맥 폐쇄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안과적 응급질환으로 구별되진 않으며 치료 예후도 좋은 편이지만, 질환 특성상 정맥이 서서히 좁아지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력저하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신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망막분지정맥폐쇄가 발생하여 망막정맥이
구불구불해지고 출혈이 동반된 모습
망막중심정맥폐쇄가 발생하여
정맥 확장 및 정맥 사행이 보이는 모습
망막혈관폐쇄는 별다른 통증없이 갑작스러운 시력저하가 발생합니다.
시력 저하와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변시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전반적인 시력저하가 두드러지게 발생하지만
혈관 폐쇄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망막혈관폐쇄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크게 약물치료, 안구내주입술, 레이저치료, 수술 등이 진행됩니다.
진단방법 : 형광안저혈관조영, 인도시아닌그린혈관조영, 빛간섭단층촬영 등
더원서울안과에서는 다양한 분야별 전문의가 상주하여 있어 체계적이고 정확한 검진으로 안전한 치료를 약속합니다.
망막혈관폐쇄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므로 발생 원인에 따른 약물치료나 레이저 치료, 안구 내 주입술 등으로 치료합니다.
혈관의 분지가 아닌 중심이 폐쇄된 경우 심각한 시력 저하뿐만 아니라 합병증 또한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평일
오전 08:30 - 오후 05:30토요일
오전 08:30 - 오후 01:30점심시간
오후 01:00 - 오후 02:00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652 신사스퀘어 8, 9층
지하철 3호선 신사역 6번 출구에서 도보 330m
지하철 3호선 압구정역 5번 출구에서 약 1.3km